튜토리얼 안내
연사 가나다순
튜토리얼 Ⅰ : 2025. 7. 7(월) 15:00-18:00
- 연 사: 김일송 교수(한국교통대)
- 연 제: PSIM과 MATLAB을 활용한 전력변환 제어기 설계

<약력>
연세대 전자공학과.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석사/박사 졸업.
현대전자 인공위성 연구소와 SatRec에서 인공위성 전력시스템, LG화학 배터리연구소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주된 연구분야는 PCS, ESS, BMS 등이며 최근에는 Machine learning에 제어기 설계와 배터리 시스템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
현재 한국교통대(충주) 전기공학과 재직 중.
<강연 내용>
컨버터, 인버터, 태양광 발전시스템, 모터등의 전력변환 시스템 제어기를 쉽고 단순화된 방법으로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설계는 제어대상 결정 -> 입출력 전달 함수 계산 -> Automatic Gain Determination by MATLAB -> Circuit level Verification by PSIM -> Digital conversion by C-language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수학적 모델 파형과 시뮬레이션 파형을 비교함으로서 설계의 적정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튜토리얼 Ⅱ : 2025. 7. 7(월) 15:00-18:00
- 연 사: 김찬기 처장(전력연구원)
- 연 제: 20세기 최고의 논문 [Symmetry Coordinate Method]와 [MMC 제어방식 Cluster Stream Buffer]

<약력>
중앙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1996년, 전력연구원 입사(선임)
2019년, 전력연구원 수석연구원(1급 처장)
2015년,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
“HVDC Transmission in Power System”, 저자
“HVDC +1, MMC HVDC”, 저자
<강연 내용>
전기공학의 역사에서, 60Hz가 나오게 된 배경, 110V가 나온 배경, 복소수를 도입한 Steinmetz의 노력과 20세기 최고의 논문인, “Fortescue’s Symmetry Coordinate Method”가 나오게 된 배경과 Clark여사와 Park의 노력으로 AC발전기의 해석이 용이해지고, 더 나가서, Blaschke의 벡터제어가 나온 배경을 논하고, 전압형 HVDC의 제어방식이 Cluster Stream Buffer의 개발과정과 선형해석 그리고 이방식이 세계표준이 된 과정! 어떤 장점이 있었을까?
튜토리얼 Ⅲ : 2025. 7. 7(월) 15:00-18:00
- 연 사: 김효성 명예교수(공주대)
- 연 제: “MVDC Grid: All Electric Society” 세미나: MVDC계통의 사고전류 관리 기술

<약력>
1982년-1986년: 동양세멘트(주) 배전계장
1996년-1997년: 일본 오까야마대학 객원연구원
2000년-2001년: 덴마크 알보그대학 연구전담 부교수
2003년-2004년: 독일 아헨공대 방문교수
2004년-2004년: 스페인 IRNAS연구소 방문교수
1987년-2024년: 공주대 명예교수
2024년-현재: 공주대 산학단 연구원
<강연 내용>
DC 기술은 기존에 독립적으로 발전해온 HVDC 및 LVDC 기술과 더불어 최근에는 Multi Terminal MVDC 시스템으로 이들을 상호 연계함로서 다양한 전원 및 부하 섹터 커플링의 역할을 소화하며 궁극적으로 에너지의 생산-공급을 전기화하는 All-electric –society (AES)의 구현이 눈 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전기에너지가 HVDC-MVDC-LVDC로 통합되는 상황에서 국부적인 사고가 전체시스템에 주는 영향은 더욱 심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선제적 기술의 개발이 더욱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총론으로 DC 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전류에 대한 관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토리얼 Ⅳ : 2025. 7. 7(월) 15:00-18:00
- 연 사: 손영욱 본부장(한국자동차연구원)
- 연 제: 국내외 전기자동차 산업 및 핵심부품 기술 동향, EV 구동시스템 x-in-one 기술동향

<약력>
한양대 자동차공학과 졸업(박사)
1997년-2001년: 현대모비스(주) 기술연구소 주임연구원
2002년-2003년: 로템(주) 기술연구소 주임연구원
2013년-2013년: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전문위원
2013년-2016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그린카PD
2003년-현재: 한국자동차연구원 대경본부 본부장/수석연구원
<강연 내용>
전기자동차 기술은 그 여느 때와 다르게 기술개발 속도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개조차에서 전용플랫폼, 전원체계는 350V에서 750V, 모터는 원통형(SFM) 수냉식에서 원판형(AFM) 유냉식, 인버터는 IGBT에서 SiC가 적용되고 있다. 본 튜토리얼 내용으로는 국내외 전기자동차 구동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구동시스템 부품 별 상세 기술 개발 현황, 통합 구동모듈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향후 기술 개발 방향 및 목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